특례보금자리론이 돈에 허덕이며 점점 자금을 줄이더니 기어코 없어지고야 말았습니다.
그런데 정부에서 특례를 뺀 '보금자리론' 및 신생아특례대출, 전세대출갈아타기 등을 내놨는데요.
과연 어떤 말인지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1.보금자리론
결혼할때 필요한건? 집이죠. 기존에 집이 있으면 뭐 거기서 살면 되겠지만,
대부분 신혼집을 구하게 됩니다.
그런데 돈은 없고.... 대출금 이자는 비쌀것 같고... 한번도 이런 큰 금액대 대출을 진행해 보지 않았으니
막막하신 분들이 많으실 텐데요.
저렴한 이자를 내는 보금자리론!
신청 사항 정리
1. 내가 들어가고 싶은 집은 얼마까지 가능한가요?
: 6억원 이하
- 전세사기 피해자는 9억원까지 가능
2. 부부합산 소득은?
- 부부합산소특 7천만원 이하
- 신혼부부는 부부합산 소득 8500만원 이하
- 자녀가 있다면, 8000 ~ 1억원 이하
- 전세사기 피해자는 소득 관련없이 신청 가능
▶ 여기서 중요한건 보통 소득을 전년도로 한다는 겁니다.
내가 지난해에 9천만원을 벌었는데 이번연도에 연봉이 삭감되어 7천만원을 번다? 그럼 불가능합니다.
또한 내 연봉이 6800인데 연말 보너스로 300을 받았다? 그럼 소득이 7100만원이 되버립니다.
그럼... 이또한 실패....
이래저래 참... 에휴..
근데 부부소득이 7천만원이라.... 한사람당 3500만원인데.
신혼부부는 8500만원. 한사람당 4250만원.
이상하지 않나요? 신혼부부가 아니라면 이미 나이가 좀 있거나 이런 부부일텐데 이사람들의 소득이 더 적게 잡혀있다?
나이들고 엄청 힘든사람 도와주고... 나이는 적지만 연봉 4천 넘는사람은 도와주고? 음... 솔직히 연봉 4250이 많은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좀 이상하다 생각이 드네요.
3. 대출만기는?
- 34세 이하(신혼부부 39세) 최대 50년
- 39세 이하(신혼부부 49세) 최대 40년
▶한마디로 소득이 적은 사람은 뭐 죽을때까지 갚아라~ 이런 느낌적인 느낌입니다...
4.금리는?
: 연 4.2~4.5% 수준.
- 취약계층 3% 대 중반
- 전세사기피해자 3.2~3.5%
- 다자녀가구 및 다문화, 한부모 가정 등 사회적 배려층 3.5~3.8%
- 저소득 청년 4.1~4.4%
▶음 낮긴 한데 과연 이게 엄청 낮은건지는 잘 모르겠네요.
버팀목 전세자금대출이 연소득 5천만원 이하이신 분들은 2% 대로 전세자금대출이 가능한데..
물론 소득의 차이는 좀 있겠지만.. 거의 2배 정도의 차이가 나네요.
진짜... 이럴땐 그냥 돈 빡쎄게 모아서 현찰박치기로 사버리는게 낫다는 생각도 드네요.
물론 아파트 집값 상승이나 지역가치 상승등의 이유로 부동산가격에 상승까지 포함시키면 대출로 집을사고 가격상승시 팔거나 해서 자산을 불릴수도 있겠지만.. 요즘들어 많이 힘드네요..에휴..
2. 신생아특례대출
요즘 출산율이 매우 저조하죠. 그래서 나라에서는 보금자리론을 조금 축소하고 신생아 특례대출을 상향시켰습니다.
- 아기 출생 : 23년 1월 이후
- 자격 : 무주택자 및 1주택자 / 부부합산 연소득 1억 3천만원 이하 / 순자산 4억 6900만원 이하
- 대상주택 제한 : 9억원 이하 / 전용면적 85㎡ 이하
- 기간 : 최대 5년
- 금리 1.6~3.3%
( 부부합산 연소득 8500만원 이하 - 1.6~2.7%)
- 대출금 : 최대 5억원
- 아이출산 1명당 대출금리 0.2%씩 추가 인하 , 적용기간 5년 더 연장
신생아 특례 대출도 괜찮죠?그런데 이것만 보고 금리가 더 낮네~ 라고 생각하시면 안되십니다. 왜냐하면 기간이 5년이거든요내가 만약에 5년 안에 다 갚을 자신이 있다! 하시는 분들은 신생아특례대출로 집을 구매하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 생각됩니다.
3. 전세대출 갈아타기
전세대출 갈아타기는 현 높은 금리의 대출을 저렴한 대출로 바꿔서 이요할 수 있다는 것인데,
평균 1.6%의 대출금리 인하 효과를 낸다 하니 지금 5%인 사람은 3%대로 줄어들수도 있겠네요.
그런데 이건 어떤 대출을 어떻게 받고 현재 내가 어떤 상태인지에 따라 달라질듯 하니,
이부분은 좀더 전문가의 설명을 들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무튼 보금자리론! 신생아특례대출! 전세갈아타기!
잘 생각해보시고 시간을 들여 알아보시며 조금이라도 나은 생활 이어나가시길 바랍니다.
홈페이지 바로가기! 아래 사진을 눌러주세요~
'부동산정책 및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전청약이 뭐지? 청약하는곳은 어디서 볼수있지? (0) | 2024.01.23 |
---|---|
1.10 부동산대책 주택수제외, 그래서 얼마 줄여주냐고? (1) | 2024.01.23 |
1.10 부동산대책 어려운말 필요없이 쉽게 보자 (1) | 2024.01.15 |